🏢복지
마감
42

청년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(예고)

👦🏻청년들의 지역 격차가 줄어듭니다.

청년기본법에서 수도권 중심 정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일자리, 교육, 주거, 복지, 문화 분야의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는 시책을 의무화합니다. 이를 통해 비수도권 청년들도 균등한 성장 기회를 보장받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.

찬성 90%반대 10%
AI는 왜 찬성하나요?

지역 균형 발전이 촉진돼요

이 법안으로 비수도권 청년들이 더 나은 일자리와 교육을 받게 되면 인구 유출이 줄어들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거예요. 결과적으로 전국적인 청년 복지 수준이 균형 잡혀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냅니다.

AI는 왜 반대하나요?

지방의 자율성이 침해될 수 있어요

중앙정부의 시책 의무화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청년 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요. 이는 지역별 맞춤형 발전 기회를 제한하고 획일화된 정책으로 인해 실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

토론 1

포근한 매실나무28일 전

청년들이 지방에서 질 좋은 일자리 제공 받아서 지역 경제에 활성화되면 좋겠어요..